카테고리 없음

챗GPT 활용법

chah 2023. 6. 8. 23:00

세상에 AI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하는데 이를 일상에서 어떻게 활용을 한다는걸까?

그 활용법이 궁금해지곤 한다.

 

챗GPT가 멀게만 느껴지는 분들께 오늘은 간단하게 그 활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이언맨

혹시 아이언맨을 보셨다면 "자비스"의 존재를 알 것이다. 자비스란, 아이언맨이 구축한 AI 프로그램으로 아이언맨이 시키는 모든 일을 해준다. 예를 들면, 엔드게임에서도 시간 여행을 할 모델을 만들어보라고 시키고, 자비스가 그것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모델의 아이디어를 낸 사람은 아이언맨이다. 자비스를 그것을 구현하는 일을 한다.

다시 말해 '뫼비우스의 띠를 거꾸로 만들어봐(?)'와 같은 식으로 명령을 하고, 자비스는 그걸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우리 생활에 적용해본다면, 앞으로 우리는 5x5를 직접 계산할 필요가 없다. 5x5를 계산해줘. 라고 하면 계산을 하는 것이다.

조금 더 어려운 수학 식에 적용해보자. y=3x+5의 기울기를 알고 싶을 때, 그동안은 계산식을 검색하여 어떻게 기울기를 구하는지를 찾아냈다. 운이 좋으면 내가 원하는 식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겠지만, y=2.5678x+5.782와 같이 복잡한 숫자로 되어 있다면 이에 딱 맞는 식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챗GPT에게 물어본다면, 1초만에 내가 y=2.5678x+5.782의 기울기를 알려줄 것이다.

나 :
y=2.5678x+5.782의 기울기 알려줘

챗GPT :
주어진 식의 기울기는 2.5678입니다. 기울기는 일차 함수에서 x의 계수로 나타나며, 이 경우에는 x의 계수가 2.5678이므로 기울기도 2.5678입니다.

 

이를 응용한다면, 조금 더 복잡한 식을 대입한 뒤 미분, 적분을 해달라고 해도 구해주고 상황을 제시한 뒤 이 때의 속력을 구해달라고 하면 구해줄 것이다. 즉, 그동안 검색을 통해 일반적인 지식을 찾아 나의 것에 대입을 했다면, 이제는 나의 구체적인 문제 상황 자체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산업혁명에 이어 챗GPT가 또 한 번의 혁명을 불러일으켰다고 평가받는 이유이다.

 

나 :
y=2.5678x+5.782 를 적분해줘

챗GPT :
주어진 함수 y=2.5678x+5.782를 적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5678x + 5.782) dx
적분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2839x^2 + 5.782x + C
여기서 C는 적분 상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적분은 1.2839x^2 + 5.782x + C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상황 속에서, 챗GPT가 나의 직업을 빼앗을 것 같은 상황 속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 사실 아무도 모른다. 정말 말 그대로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측할 뿐 정확한 루트는 모른다는 뜻이다. 막연하기만한 이 상황을 다르게 생각해보면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내가 조금만 빠르면 세상에 도태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매일 조금씩이라도 챗GPT를 사용해보면서 AI문법을 익히는 것, 즉 어떻게 물어야 내가 원하는 퀄리티 높은 대답이 얻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